2025/05/09 2

경찰 조사 전 꼭 준비해야 할 것들, 수사 대응의 첫 단추를 잘 끼우자

“경찰서에서 조사 받으러 오래요. 그냥 가면 되나요?” “어떻게 말해야 불리하지 않을까요?” 이런 질문, 정말 많습니다. 형사 사건에서 경찰 조사(피의자 조사)는 수사 초기의 가장 중요한 관문입니다. 처음 조사에서 말 실수하거나, 제대로 준비 없이 출석하면 그 뒤에 벌어지는 수사·기소·재판까지 전부 영향을 줄 수 있어요. 이번 글에서는 경찰 조사 전에 꼭 준비해야 할 것들을 정리해드릴게요. 1. 경찰 조사의 흐름은 이렇게 진행됩니다 먼저, 경찰 조사는 단순히 “불러서 몇 마디 묻는 자리”가 아닙니다. 정해진 순서와 방식으로 모든 진술이 녹취·문서화되고, 이 조서가 기소 여부와 재판의 핵심 증거가 됩니다. 📍 신원확인📍 피의자 권리 고지 (묵비권, 진술거부권 등)📍 본안 질문 (사건 관련 질문)..

진술 번복하면 위증죄가 될까? 수사기관·법정 진술의 함정

수사기관이나 법정에서 한 번 진술한 내용을 나중에 바꾸면 “혹시 위증죄로 처벌받는 건가요?”, “말 바꾸면 큰일 나는 거 아닌가요?” 이런 걱정 많이 하시는데요, 단순히 진술을 번복한다고 모두 위증죄가 되는 건 아닙니다. 하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실제로 위증죄로 처벌받을 수도 있어요. 이번 글에서는 진술 번복의 위험성과 위증죄가 성립하는 조건, 그리고 그 상황에서의 전략까지 알려드릴게요. 1. 위증죄란? 형법 제152조에 따르면, 법정에서 허위의 진술을 하는 경우 위증죄가 성립합니다. 여기서 “법정”이란 법원에서의 증인신문 등을 말해요. 📌 수사기관(경찰, 검찰)에서의 진술은 위증죄 아님📌 법원에서 ‘선서한 증인’의 허위 진술이 핵심 ➡️ 즉, 위증죄는 “증인 신분으로 법정에서 거짓말한 경우”에..